IP주소는 인터넷 업체가 직접 부여하는 외부 IP주소가 있고, 인터넷 회선과 연결된 공유기가 부여하는 내부 IP주소가 있다.
내부 IP주소는 192.168.X.X 혹은 172.0.X.X 형태로 부여된다.
실질적인 IP주소는 외부 IP주소다. 내부 IP주소는 집안에서 FTP 프로그램을 통해서 파일을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면 사실 별 의미가 없다.
문득 3G, LTE, 5G 데이터망 사용시 외부 IP주소가 부여되는지 내부 IP주소가 부여되는지 궁금해졌다.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에서는 이렇게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일단 외부 IP주소는 아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 다음 등 포털사이트에서 "IP주소"를 검색하면 확인할 수 있다.
내부 IP주소는 안드로이드 설정 메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설정을 터치하고 "일반"-"휴대폰 정보"를 터치하자.
이어서 "네트워크(네트워크, 서비스 상태, 모바일 네트워크 상태 등)"를 터치하자.
IP주소를 확인할 수 있다.
와이파이망에 접속된 상태일 경우 위와 같이 IPv6 주소와 IPv4 주소가 뜬다.
(192.168.0.1같은 형태의 IP주소는 IPv4이고, 알파벳과 숫자로 조합되어 있는 IP주소는 IPv6다. IPv4의 고갈 위험 때문에 IPv6 규격이 등장했다.)
데이터망에 접속하니 IPv4 형태의 IP주소가 뜬다.
그런데 위와 같이 뜨는 IP주소와 포털에서 확인한 IP주소가 서로 다른 것으로 봐서, 통신사 데이터망도 내부 IP주소가 부여되는 것으로 보인다.
'기계와 나 > 안드로이드 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 광고없는 MP3 앱 Musicolet (탐색기 기반) (0) | 2020.08.09 |
---|---|
제거 불가능한 통신사 선탑재 앱 사용중지 방법 (0) | 2020.07.16 |
스마트폰 액정보호필름, 강화유리 들뜸 해결하는 법 (0) | 2020.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