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수년 전, 딴지일보에는 '크리티크'라는 음반평 코너가 있었다.
딴따라딴지 필진이 신보에 대한 짤막한 촌평을 적고 1등급부터 5등급까지 등급을 매겼다.
1등급 아이콘은 희열을 느끼는 외계인, 5등급은 "이게 뭐꼬~"하며 탄식하는 외계인이었다.
(문희준의 앨범엔 항상 4~5등급이 매겨졌다)
뭔가 새로운 음악경험을 추구하는 청취자들에게 좋은 가이드 역할을 했었는데 안타깝게도 어느 순간부터 - 김어준이 딴지일보보다 물품판매와 대외활동에 주력하면서 - 이 코너는 아주 조용히 사라져 버렸고 독자들의 원성도 자자했다;
딴지일보 지난신문보기에서조차 찾을 수 없어서 안타깝다.



[서태지 7집]

반투명소재로 만든 부클릿, 알아보기 힘들게 배열된 곡제목... 이런 생경한 방식을 상품화 전략의 일환으로 채택해도 좋을 만큼 '서태지'라는 브랜드파워가 과연 막강하긴 한 모양이다. 음악도 사실 그다지 말랑말랑한 스타일은 아니다. '감성코어'라는(괴상한) 규정만 놓고 보면 꽤나 대중적으로 만들어졌겠구나 싶은 첫인상이 들지만, 듣자하니 그렇지만도 않다. 다시 말하면, 애초 예상보다 훨씬 '헤비'하다. 게다가 '진지'하시기까지 하다.

흥미로운 건 수록곡 상당부분이 정말 'C-G-Am-Dm'의 4코드(정확히는 '그 4코드로 끼워맞출 수 있는 코드들')로만 이루어져 있다는 거다. 어마어마한 파격은 아니지만, 상당히 재미있는 시도인 건 분명하다. 근데 계속 비슷비슷한 코드진행이 반복되다 보니 첫귀에 쏙쏙 잘 들어오지는 않고, 고로 처음 듣기에는 다소 밋밋하다는 인상을 강하게 풍긴다. 근데, 그 이면에 숨은 멜로디는 꽤나 감각적이다.

'Sexual assault, 넥타이에 목졸린 채 구토를 하는 너' 같은 유쾌하지 않은 가사를 흥얼거리기 좋은 후렴구로 만들어버린 센스([Victim])는 그 중에서도 단연 압권이라 할 만하다. 서태지 특유의 멜로디라인이 처절한 사운드와 함께 빛나는 [로보트]나, 웬일로 어쿠스틱한 분위기를 한껏 낸 발라드 [10월 4일]도 귀를 번쩍 뜨이게 한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업계를 향해 독설 한사발을 날려버리는 [F.M Business]를 듣고 있노라면 "서태지가 그렇지 뭐..."라는 애증섞인 탄식이 절로 비어져 나온다.

무엇보다도, 더 이상을 기대하기 어려울 만큼 훌륭하게 프로듀싱된 사운드('언제나 그렇듯이' 프로듀서는 서태지 본인이다)는 본작을 듣는 즐거움을 최고조에 달하게 만드는 핵심요인 되겠다. 아직까지 이런 사운드를 창출해낼 수 있는 프로듀서, 혹은 뮤지션을 국내에서 찾아보기 힘들다는 사실이 새삼 안타까움으로 다가오는 대목이기도 하고.

툴(Tool)의 <Lateralus> 앨범을 절로 연상시키는 부클릿이나, 타이틀트랙 [Live Wire]에서 앤드루 W.K.(Andrew W.K.)의 영향력이 짙게 배어져나오는 점은 아쉽지만, 앨범의 작품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할 정도는 아니다. 그보다 정말 안타까운 대목은 예전의 그 번득이던 한칼이 다소간 무뎌진 느낌이 팍팍 든다는 건데... 하긴 12년이란 세월이 지나도록 그 신선도를 그대로 유지해주길 바라는 게 정신나간 짓이지. 그래도 서태지 솔로음반 치고, 그 특유의 유약한 보컬과 이만큼 잘 들어맞는 스타일을 지닌 작품도 없잖아? 웬만하면 이제부턴 위악적인 목소리를 내려고 가련할 정도로 애쓰지는 말았으면 하는 소망이 있네.

Grade 2

[radiohead, Kid a]

이젠 테크노 밴드 래됴헤드인가?... 
사전정보 없이 씨디를 사서 3번 트랙까지를 듣다 보면 자연스럽게 이 말이 튀어 나온다. '씨바, 시디 잘못 산거 아냐?! '덥이 잔뜩 걸린 보컬부터 심상찮은 1번 [EVERYTHING IN IT`S RIGHT PLACE]과, 기계적인 느낌을 주는 보컬의 이펙트가 신산하기 짝이 없는 [KID A]를 거쳐 거의 프리재즈를 연상시키는 수준인 3번 트랙 [THE NATIONAL ANTHEM]의 후렴구까지 듣다 보면 누구라도 음악 듣다 말고 플레이어 속의 씨디를 다시 확인해 보고 싶은 충동에 휩싸일 것이다. 이제 사천만의 궁민애창팝송이 되어버린 [Creep]의 래됴헤드는 죽었다.
이넘들이 우짜다가 이렇게 되었나를 추리해 보자면 단서는 하나밖에 없다.
브라이언 이노를 만나서 유투가 변했고, 노엘 갤러거가 케미컬 브라더스를 만나고서 오아시스의 사운드도 변했다, (음, 오아시스가 테크노를 들고 나왔다는 얘기는 아니고, 걔들의 신작에서 느껴졌던 케미컬 비트의 냄새를 두고 하는 말이다)
고로, 래됴헤드가 요로코롬 변하게 된 원인에는 보컬인 톰 요크가 DJ 쒜도우의 UNKLE과 짝짝꿍했던 한때의 외도가 큰 역할을 했을 것이라고 적당히 오바해서 생각할 수밖에(기억하는 이 있는가? 드니 라방이 나와서 자동차가 센가 자기가 센가 맞짱을 뜨던 그 뮤직비됴..Rabbit in your headright). 이 추론을 뒷받침하는 증거물은 (아무리 자기 애가 아니라고 주장하더라도) UNKLE의 냄새가 너무도 짙게 풍기는 [IDIOTEQUE(제목은 또 이게 뭐람?!)]과 [MORNING BELL]이다. DJ 쒜도우의 장기라고 할 수 있는 힙합/브레이크 비트의 바탕 위에 UNKLE과 래됴헤드가 즐겨 쓰던 음원들이 공존공생하고 있다.
게다가 [IDIOTEQUE]에서는 언더월드식의 보컬까지 펼쳐 거의 '올해 최고의 테크노 트랙'의 영예를 부? ㈖巒?아쉬울 게 없는 느낌을 선사하고 있다. 이건 참으로 당혹스러우면서도 기분 좋은 발견이 아닐 수 없다. 앰비언트 테크노의 전형을 제시하고 있는 [TREEFINGERS]에서도 마찬가지. 

그렇다고, 이번 앨범에서 이넘들이 신디사이저와 드럼머쉰만 옆에 끼고 산 것은 아니다. 말미의 스트링 섹션이 저릿하게 다가오는 발라드(?) 넘버
[HOW TO DISAPPEAR]와 자니 그린우드 특유의 기타 장난과 함께 앨범내 가장 대중적인 넘버로 손꼽힐 [OPTIMISTIC]같은 곡에서는 『O.K.Computer』이후 밴드로서의 정체성을 엿볼 수도 있고, 또한 반갑기까지 하다. 

국내에서 만만찮은 인기를 유지하고 있는 래됴헤드인만큼, 음악 좀 듣는다 하는 넘들은 개떼같이 가게로 몰려가 이 씨디를 살 것임에 틀림없다. 이 무던하게 실험적이고 전위적이며 아방가르드적인 트랙들의 숲 사이에서 길을 잃고 망연자실해 있지만 말고, 다음과 같이 감상해 보기를 권하고자 한다. 먼저 부클릿을 펼치고 누가 그렸는지는 모르겠지만, 여러 가지 추상화에 시선을 고정시킨 채 음악을 들어보라. 그리고 잠들기 전 조명을 어둡게 하고 누운 채로 자유롭게 흘러가는 선율들 사이에 몸을 내맡겨 보라. 공중부양의 느낌과 함께,
[MOTION PICTURE SOUNDTRACK]의 아련한 후렴부는 래됴헤드를 절대 포기할 수 없게끔 만들어 줄 것이다. 끊임없이 자기를 혁신해 나가는 넘이 예술가라고 누가 말했던가? 

카오루 (Meanjune@hitel.net)

Grade 2

[미선이 1.5]

요 앨범 나오기 기다린 넘들이 꽤 될 줄로 안다. 앗싸 오방 하드코어 펑크 무리들이 인디판의 대세를 자지우지하고 있던 무렵, 델리 스파이스도 아니고 언니네 이발관도 아닌 것이 뭔가 신선하면서도 청량한 느낌의 모던 락을 들고 나와 의외의 지지를 얻은 넘들이 있었으니(따지고 보면 '조윤석'의 원맨 밴드에 가깝지만), 그 이름 바로 '미선이'다. 98년에 이미 <drifting>이라는 정규앨범이 나왔고, 이제는 절판되어 구하기가 쉽지 않은 저 앨범을 리마스터링하고, 보너스 트랙 4곡까지 덧붙여 다시 만든게 바로 본 작 되겠다.

엄밀하게 장르의 잣대를 갖다 대자면 요런 음악을 포크락의 다른 이름인 '컬리지 락'이라 부를 수 있겠다. 포크의 가벼운 리듬이 주조를 이루고, 딜레이계와 퍼즈계열의 기타톤이 들락날락한다. 조윤석의 목소리는 마이 블러디 발렌타인가튼 슈게이징 음악에서 들을 수 있는 '헤븐리 보이스' - 천상의 목소리를 낸다. 근데, 이 천상의 목소리에 실려 있는 가사는 폐부를 찌를 듯 섬찟하다. '개같은 세상에 너무 정직하게 꽃이 피네 [진달래 타이머]'

하강의 이미지를 강렬한 리프로 잘 표현한 [섬]이나, 여느 곡과 다름 없는 어레인지에 비스티 보이즈 풍의 래핑을 얹은 [두 번째 세상]이 다소 튀긴 하지만 전체적인 분위기는 다소 허무하고 암울한 서정성을 띄고 있다. 하지만 능청스레 신문을 휴지보다 평가절하시켜 버린 [치질]의 가사처럼, 서정에 녹아든 관념은 예사롭지 않다. '인디'라는 이름을 달고 있으면 웬지 퀄리티가 떨어질 것 같다는 편견을 갖고 있는 넘들이나, 세련된 국내락 음악을 찾는 넘들에게 무조건 들어 보라고 권할 작품이다. 듣다 보면 어느새 코끝이 찡해 올 거다.

- 카오루 (meanjune@ddanzi.com)

[이상은, 신비체험]

그녀에게 따라 붙는 '동양적'이라는 수식어는 사실 그리 온당하지 못 한 것이다. 이 수식어에 어울리는 앨범은 <공무도하가>와 <Asian prescription>(공무도하가의 곡들이 대거 영어로 다시 실렸다) 딱 두 장 뿐이고, 그녀는 자기만의 '팝송'을 만들어 부르는 독특한 '스타일리스트'일 뿐이다. 이번 앨범의 타이틀이 <신비체험>이다 보니 '동양적인 야리꼬리함'을 떠올리기 쉽겠지만, 일단 그건 아님을 밝혀둔다. 야리꼬리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그 바탕은 어디까지나 그녀에게 체화된 보헤미안적 기질에서 오는 것이다. 부클릿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차분한 솔로 떠돌이'가 그녀의 음악을 규정짓는 주된 요인임을 부정할 수는 없다.

밝고 경쾌하며 대번에 귀에 박히는 훅을 많이 들려줬던 전작 <Endless lay>에 비한다면, 이번 앨범은 앞서 말했듯 그 야리꼬리함의 농도가 좀 짙은 편이다. 그 이유엔 크게 두 가지 축이 자리잡고 있는데, 하나는 무덤덤하게 흐르는 보컬의 멜로디, 하나는 전자음악으로 입혀진 편곡이다. 물론 겉으로 보기엔 '별/태양/우주/하늘/강/사막' 등등의 단어로 점철된 가사도 한 몫 하고 있지만, <공무도하가> 이후로 쭉 그녀의 음악을 접해온 사람들에겐 그냥 그녀만의 생각이려니 하고 지나칠 듯 싶다. 거기에 무슨 방대한 의미가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헛된 몽상도 아닌, 그녀의 몸뚱아리만이 내뱉을 수 있는 그런 가사려니 하고... 쭉 비슷했기 때문에. 아무튼 관건은 그 두 가지 축이다.

먼저 이 두 가지 축이 '결합'한 경우를 보자면, 썩 만족할 만한 성과는 아니다. 바그너의 악극에서 제목을 차용한 [Valkyrie]와 그 다음 곡 [Soul deep sunday]처럼 원곡과 훌륭히 매치되는 경우도 있지만, 후반부에 나란히 등장하는 [Mysterium], [Free man], [Voyager]의 사운드들은 원곡의 밍숭맹숭한 흐름을 카바할 정도는 아니다. 앞서 언급한 곡들을 위해 엠비언스의 숨은 인재 KAYIP을 보셔왔다고 하지만, 그 숨은 역량은 원곡을 거스르지 않는 충실한 보조에 그치고 만다. 차라리 딸랑 1곡만을 맡은 달파란의 [supersonic]이 신선하고 재미있다. 

이와는 반대로 마찬가지의 무덤덤한 보컬 멜로디지만, 전자음악의 시도가 배제되고 어쿠스틱으로 때를 입힌 곡들은 청자의 감성을 제대로 자극한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그녀의 오랜 작업 동료 하지무 타케다의 연주가 압권이다. 곡과 혼연일체가 된 [Soulmate]에서의 어쿠스틱 기타, [Winter song]에서 들려주는 키보드의 음색, 그리고 기가막힌 어쿠스틱 기타의 리듬감을 들려주는 [Paradise]에서 그의 진가가 드러난다. 

이번 앨범에서 그녀에겐 새로운 시도였던 전자 사운드들이 그다지 성공적이지 못 한 건 씁쓸한 일이다. 전면에 나서지 않고 [Soulmate]와 [World is an orchestra]에서처럼 디지털 음원들이 양념으로 살짝 버무려진 경우가 오히려 제대로 된 신비체험에 더 효과적이다. 직접적인 원인은 어디까지나 무덤덤하게 흐르는, 선뜻 동의하기 힘든 그녀의 멜로디 라인에 있다. 깊은 맛을 내는 [Soulmate]와 말랑말랑한 [Paradise]의 멜로디를 전자 사운드로 편곡된 곡들에선 찾아볼 수가 없기 때문이다. 부차적인 원인으로는 이번이 첫 번째 시도라는 점을 들 수 있다. [winter song] 같은 경우는 순전히 타케다의 공력으로 빛을 발하는 케이스다. 역시 그는 오랜 벗답게 수긍하기가 쉽지만은 않은 그녀의 떠돌이 감수성을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이다. 

어쨋든 간에, 이번 이상은의 11번 째 정규 앨범은 '들어볼 만하다'로 규정하련다. 타케다의 훌륭한 연주, '나, 국악이야!'라고 티 내지 않는 국악기들의 소리, [World is an orchestra]의 신선한 브라스 세션(특히 튜바!)이 준비되어 있으니 말이다.

Grade 2

[Radiohead, Hail to the thief]

처음 한 5년동안 라됴헤드의 신보가 나올 때마다 사람들 사이에서 오가던 썰들의 요지는 대부분 이거였다. '[Creep]만한 곡이 있느냐 없느냐' - 그러더니 97년도가 지나면서부터는 '<OK Computer>만큼 들을만 하냐 아니냐'로 이후 새 앨범에 대한 기준이 자연스럽게 바뀌었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본작은 <OK Computer> 이후 가장 그 시절 분위기가 물씬 풍겨 나오는 앨범의 모양새를 지니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전작 <Amnesiac(2001)>의 크리티크에서 본 우원은 '<Kid A(2000)>보다 먼저 나왔으면 좋았겠다'고 썰푼 바 있다. 그리고 이제 본 우원은 이렇게 말하고프다. 당 앨범 <Hail to the thief>는 좀더 그 이전에 나왔으면 좋았을 법한 앨범이라고. 그러니까 뜬끔없는 일렉트로니카 비트와 불친절한 멜로디 전개가 음반에 끼어들었던 모냥새를 가지고 볼 때 <OK Computer> 다음으로 해서 <Hail to the thief> - <Amnesiac> - <Kid A> 식의 역순으로 나타났다면 가장 자연스러워 보였을 거라는 얘기다.

일단 소시적처럼 '뺀드 형태' 곡들의 숫자가 대폭 늘어났고, 테크노tic한 곡들의 비중은 현격히 줄어들었다. 하지만 신보에서 나타난 변화는 이런 양적인 부분에 국한된 것이 아니다. <Kid A> 앨범에서의 [Kid A]나 <Amnesiac>에서의 [Pull/Pulk revolving doors]등등 일렉트로니카 트랙들에서 보였던 낯설고 난해한 멜로디 또한 자취를 감추었다. 그리고 [Sit down, stand up]에서 들려주다시피 드럼 앤 베이스 비트 역시 곡의 분위기와 찰떡궁합으로 잘 엉겨붙어 있어, 앨범 전체적으로 볼때는 물론이고 하나의 곡만 놓고 볼 때도 멜로디와 비트가 사돈의 8촌마냥 낯설게 느껴지던 전작들에 비해 확실히 들을 만해졌다.

첫 트랙 [2+2=5]의 구슬픈 트레몰로 주법을 필두로 [We suck young blood], [There there]등을 거쳐 마지막 곡 [A wolf at the door]까지, '래됴헤드 돌아왔구나!'라는 반가움을 안겨줄 롹 트랙들이 그득하다. 이렇듯 전작까지 치유불능으로 보이던 기억상실 증세는 분명 호전되고 있지만 갈아붙이는 기타의 강렬함을 뚫고 솟아나오던 막가파식 꿀꿀함은 이제 더 이상 없다. 그러나 어쨌든 롹 트랙이건 일렉트로니카 트랙이건 서로를 충돌시키지 않고 일관되고 절제된 꿀꿀함으로 엮어서 뽑아낸 솜씨 또한, 실험의 극단까지 치달았다가 역순으로 거슬러 올라온 이들의 음악여정을 통해 다져진 것 아니겠는가? 예전의 스타일을 떠올리게 할 지언정 이를 가리켜 '퇴행'이나 '회귀'라는 단어를 들먹일 수 없는 이유가 바로 여기 있다.

Grade 2

- 카오루 (meanjune@ddanzi.com)
300x25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