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0년 전까지만 해도 테이프가 지금과 같은 운명이 될 줄은 몰랐다.
(본 포스팅이 작성된 시점은 2011년)
한국에서는 어학 수험생과 노년층 때문에 여전히 카세트 수요가 있지만..
10년이 더 지나면 삐삐, 플로피디스켓 등과 함께 박물관의 한 구석을 차지할지도 모른다.
100년이 더 지나면 DVD, USB메모리, 아이패드가 박물관에 전시될 수도..


새천년 첫 해에 구입한 마이마이 카세트. 15만원정도를 주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중고딩 시절에 친구들 열에 아홉은 파나소닉, 아이와, 마이마이, 아하프리 워크맨을 갖고 있었다.



몇 개 없는 단자와 버튼들. 마이마이는 대체로 서민들이 많이 구입했다.
일제 하이엔드 제품들은 당최 이해되지 않는 복잡한 버튼들로 가득했다.



리모컨 달린 이어폰을 분실해서 한동안은 본체에 달린 버튼만 누르느라 고생좀 했다.



난독증세가 있었던 나는 MP3 플레이어 기능이 내장된 줄 알고 구입했다.
알고 보니 MP3 사운드를 테이프에 녹음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젠장..
설명서에서 시키는 대로 녹음해도 음질은 영 아니올시다였다. 테이프가 다 거기서 거기지..
청취 가능한 라디오 주파수를 자동으로 잡아주는 기능이 있지만,
전파가 잘 잡히지 않는 곳에서는 엉뚱한 주파수가 자주 잡혀서 별 쓸모는 없었다.



이 마이마이가 출시된 시점에는 (1999년경?) 한창 스티커 사진이 유행했다.
테이프를 장착하면 가려서 보이지도 않을 건데 삼성은 왜 이런 바보같은 시도를 했을까?



데뷔 초기 최수종의 마이마이 광고...
초창기 마이마이는 무식한 무게와 크기를 자랑했다.
에어로빅 할 때 저걸 차면 운동량 꽤나 늘어날 듯.


300x250

+ Recent posts